조석의 기준면 1. 평균해면; 우리나라의 육지의 높이를 나타내는 기준면으로서 오랫동안 관측한 평균 높이로 일평균 해면, 월평균 해면, 년평균 해면 등이 있다. ⇒ 인천의 평균해면 0m를 기준으로 한다. 다음 그림은 각종 기준면(좌)과 지역별 평균해면 높이의 차(우)를 나타낸 것이다. ※수준면(水準面, level surface); 중력방향에 수직적인 포텐샬이 모든 곳에서 같은 면이다. 지구를 둘러싸는 해수면의 높이는 중력 이외에 조석(潮汐)·조류·기압·해수밀도·해수온도 등의 영향에 따라 변하는데, 장기간에 걸친 평균을 잡아보면 주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상쇄되어 거의 하나의 수준면에 따른다고 볼 수 있다. 평균해수면에 가장 가까운 수준면을 지오이드(geoid)라고 하며, 이것은 수준측량(水準測量) 높이의..
하천의 조석은 외해의 조석은 하구에 진동을 일으킨다. 외해의 조석의 영향을 받는 하천을 감조하천(感潮河川)이라한다.그리고 감조하천의 특징으로는 밀물 시 바닷물이 하천을 거슬러 올라 가고 조수간만의 차로 하수의 수위가 주기적으로 변화한다.그에따라 홍수 및 농작물 염해를 입고 이에 따른 대책을 마련한다. 그 대책으로 방조제, 하굿둑 건설 등이 있다.그 실제 예로 금강, 영산강, 낙동강 하굿둑, 김포 신곡의 수중보, 충남 삽교 서산 방조제가 있다.문제점으로는 해류의 변화, 양식업 피해, 연안 습지의 식생 훼손, 하천 운반물질량이 달라져 생태계 변화, 수질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하구 수력학은 감조하천을 포함한 대부분 하구 부근은 지형, 수심의 복잡함으로 변화, 창조와 낙조 시 최대유속의 비대칭..
조석에 대해서 알아보겠다.기조력(천체인력)의 지구표면 각점과 지구 중심과의 차이에 의해 발생 한다. 1.달과 태양의 인력에 의해 해수가 부풀어 오르고 내려앉고를 반복한다. ※기조력의 크기는 천체의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한다. 태양은 달보다 26×106배의 질량이지만 거리가 360배나 멀기 때문에 조석을 일으키는 기조력은 태양이 달에 비하여 46.6%에 불과하다. 기타 별 등의 천체의 영향은 거의 무시할 수준이다. 기조력 F=GmM/r3 (G; 만유인력 상수, m; 천체의 질량, M; 지구의 질량, r; 지구-천체간 거리) 2.달의 공전은 지구와 달 사이에 작용하는 만유인력이다. 전체적으로 지구와 달의 공통 무게중심을 중앙으로 회전함으로써 생기는 원심력과 평형을 이룬다. 그러나 지구표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