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우리들은 일상 속에서 많은 장애인, 장애우 들을 접하고, 그들이 받는 차별대우에 대해 듣고 있다. 그렇다면 오래전 장애인, 장애우에 대한 대우는 어떠했을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먼저 고대 서양의 경우를 보면 살펴보겠다. 고대 철학자들의 어록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아들을 양육하지 못하도록 법을 제정해야 한다."-아리스토텔레스 "장애아를 사회에서 격리시켜야 한다."-플라톤 우리가 한번쯤은 들어봤을 만큼 유명한 고대 서양의 철학자들이 생각했던 장애인에 대한 언급들은 놀랍게도 장애인을 아주 심각할 정도로 인간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고대 서양의 인식은 중세로까지 계속 이어졌고, 중세 서양에서는 장애인을 신의 벌을 받은 악한 존재로 여기기까지 하였다. 그래서 이들에 대한 고문과 ..
조선왕 4탄 입니다. 조선왕 4탄의 마지막 최종회 입니다. 제 22대 왕은 정조입니다. (재위 1776~1800)사도세자의 아들이자 조선의 르네상스 시대를 이끌었던 정조입니다.여자에겐 관심이 없고 취미는 술, 담배, 독서, 불 같은 성격에 매우 인간적인 왕이었다고 합니다.하지만 정조는 끊임없는 암살 위협에 제대로 잠을 자 본적이 없을 정도였다고 합니다.영화 역린은 정조를 암살하려고 했던 실화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입니다.현빈씨가 멋있는 정조역할을 완성했었습니다.현빈씨와 한지민씨는 정말 비주얼 최강의 사극 배우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한지민씨 사랑합니다.조선 왕 중 최고의 복근 씬을 보여주신거 같은데 다들 기억날거라 생각합니다. 제 23대 왕은 순조입니다. (재위 1800~1834년)안동 김 씨 세..
3탄은 15대 조선 왕부터 시작됩니다. 제 15대 왕은 광해군입니다. (재위 1608~1623년)영화 광해로 이제는 온 국민이 다 아는 왕 광해군입니다.당시 이병헌은 역시 이병헌이다라는 연기평과 함께 이미지 쇄신에 성공하였습니다. 한효주와 류성룡의 연기도 기억에 많이 남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임시 정부를 훌륭하게 이끌었고, 중립 외교정책 등 국란을 극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하지만 인조반정(서인이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를 즉위시킨 정변)으로 연산군에 이어 조선 역사상 두 번째로 강제 폐위 당합니다. 제 16대 왕은 인조입니다. (재위 1623~1649년)영화 최종병기 활은 인조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인조는 광해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지만정묘호란, 병자호란 (1627, 1636 청나라가..
1탄에 이어 2탄입니다. 2탄의 조선 왕들도 드라마, 영화를 통해 친숙한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제 9대 왕은 성종입니다. (재위 1469~1494년)나라 운영은 잘 했지만 바람기가 많았던 성입니다.부인 윤씨(연산군의 생모)는 그런 성종을 매우 질투하여 급기야 성종의 얼굴에 손톱 자국을 냅니다.이 사건이 결정적 계기가 되어 윤 씨는 폐위되고 인수대비(연산군 할머니)가 폐비 윤 씨에게 사약을 내립니다.영화 왕의남자에서 연산군은 어렸을 적 아버지 성종에게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하는 모습을 그림자놀이로 보여줍니다. 제 10대 왕은 연산군입니다. (재위 1494~1506년)계모를 죽이고, 재상가 부인 겁탈, 신하들 대거 숙청 등, 연산군의 극악무도한 횡포에 화난반대세력들이 쿠데타(중종반정)을 일으켜 연산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