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의 조석은 외해의 조석은 하구에 진동을 일으킨다. 외해의 조석의 영향을 받는 하천을 감조하천(感潮河川)이라한다.그리고 감조하천의 특징으로는 밀물 시 바닷물이 하천을 거슬러 올라 가고 조수간만의 차로 하수의 수위가 주기적으로 변화한다.그에따라 홍수 및 농작물 염해를 입고 이에 따른 대책을 마련한다. 그 대책으로 방조제, 하굿둑 건설 등이 있다.그 실제 예로 금강, 영산강, 낙동강 하굿둑, 김포 신곡의 수중보, 충남 삽교 서산 방조제가 있다.문제점으로는 해류의 변화, 양식업 피해, 연안 습지의 식생 훼손, 하천 운반물질량이 달라져 생태계 변화, 수질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하구 수력학은 감조하천을 포함한 대부분 하구 부근은 지형, 수심의 복잡함으로 변화, 창조와 낙조 시 최대유속의 비대칭..
바람에 의한 파 1. 풍파(Wind Wave)의 발생 3요소를 살펴보겠다. 가. 풍속이 있다. 나. 취속시간(Duration)은 바람이 계속 부는 시간이다. 다. 취주거리(Fetch)는 바람이 불어가는 거리이다. ※바람이 육지에서 바다로 불 때 먼 바다일수록 파도가 높다. 그리고 취주거리가 길어서 강이나 작은 호수에는 큰 파도가 없다. 왜나하면 취주거리가 짧기 때문이다. 2. 평균 파고, 유의 파고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가. 평균 파고는 N개 파고의 평균이다. (단, 30Cm 이하는 제외한다.) 나. 유의 파고는 파고가 큰 것 중 N/3 평균한 것이다. ☞ 선박운용자 기준이다. 다. 1/10최고파고는 파고가 큰 것 중 N/10 평균한 것이다. ※유의 파고 1m의 경우에 평균 파고는 1.60m, 1/10 ..
파랑 (파도) ☞ 해양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 중에서 가장 양적으로 크다. 해파(海波)의 분류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1. 표면파 가. 작용하는 힘에 대해 알아봅시다. (1)원인력(기파력); 잔잔한 해면을 출렁이게 하는 힘이 있어야 한다. (2)복원력은 굴곡진 해면이 평평해 질려는 힘이다. (3)전향력은 지구 운동과 관련된 힘이다. 코리올리 힘, 조석파, 쓰나미, 켈빈파, 대륙붕파, 등이 있다. (좌)항주선박 후미의 켈빈파와 (우)대륙붕파 ※켈빈파(Kelvin Wave); 남아메리카 해안 쪽을 향해 동쪽 방향으로 퍼지는 매우 긴 해양 파동이다. 남아메리카에서 켈빈파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류의 상층 두께를 늘리고 해면 높이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켈빈파는 엘니뇨 현상이 나타나기 전 해 말경에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