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류의 대순환 해류의 대순환은 각 대양에 공통된 해류의 규칙적인 순환을 말하며, 대양대순환 ·해양대순환이라고도 한다. 바닷물은 여러 가지 운동을 하고 있는데, 장기적으로 보면 대양 전체가 순환한다. 해류의 대순환은 크게 표층(表層)대순환과 심층(深層)대순환으로 나뉜다. 표층대순환은 주로 해면에 부는 바람의 응력(應力)에 기인하는 해류에 의해서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적도 양쪽에서는 바람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불고(무역풍), 위도(緯度) 40° 부근에서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분다(편서풍). 이와 같은 대기의 순환에 밀접하게 관련해서, 대양표층의 해류계(海流系)가 정해진다. 즉 대양의 서쪽 부분에서는 극방향으로 난류가 흘러 고위도해역에서 동쪽으로 향한다. 또, 대양의 동쪽 부분에서는 적도방향으로 향하는 흐름(비교..
5. 열염분 순환 가. 해수의 밀도차이로 수괴가 매우 느린 속도로 심해에서 이동한다. 수평과 수직으로 이동한다. 이는 전 해양 수괴 90%에 해당된다. 나. 저온, 고염분의 밀도가 큰 극지방의 해수가 침강으로이다. ※헨리 스토멜(Henry Stommel)의 일반 순환모델로써 대서양의 심층수는 북극해에서 시작하고, 태평양과 인도양은 남극해에서 시작한다. 즉, 이는 밀도차에 의한 압력경사로 유동하기 시작하여 코리올리 힘에 조종되므로 일종의 지형류이다. 6. 표층해류는 주로 바람과 표층의 마찰로 발생한다. 바다는 다른 흐름을 갖는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뉜다. 일정한 흐름을 갖는 조각 하나를 해류라고 한다. 해류는 크게 표층수의 움직임과 심층수의 움직임으로 나눌 수 있다. 표층수는 바람과의 마찰력으로 움직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