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분(Salinity) 1. 해수의 용존물질의 원인을 살표보겠다. 가. 먼저 대륙 지각의 풍화가 있다. 나. 그리고 화학적 침식작용이 있다. 다. 세번째로 대양저 해령의 열수괴 분출의 부산물이 있다. 2. 염분은 단위를 1,000분률(‰)로 표시하고, 1Kg의 해수를 480℃에서 건조한 량(무게)이다. ※위의 방법은 번거로우므로 염소이온 농도(Chlorinity)를 질산은으로 적정하여 계산한다. ☞ S(‰) = 1.80665 × Cl(‰) ‘05 3. 기타 염분 측정방법 ; 해수의 온도, 밀도, 음향속도 또는 전기 전도도로 측정한다. (Conductivity, Specific Conductance) 4. 염분의 변화와 해수 성질의 변화를 살표본다. ;염분의 증가 → 밀도 증가 → 결빙온도와 최대밀도 온도..
해수의 물리적 성질(수온, Water Temperature) 수온 1. 심층수의 10% 미만은 10℃ 이상, 75% 이상은 4℃ 이하 낮은 온도이다. 2. 물의 염분이 증가하면 최대밀도 온도와 결빙온도가 내려간다. -2℃ 전에 결빙된다. ※해수온도는 항상 –2℃이상 ~ 최대 30℃, 깊은 바다에서는 –1 ~4℃ 유지된다. 3. 최대 수온 30℃는 적도부근이 아니고 약간 북위도→태양복사 에너지 차이, 난류영향을 받는다. 4. 해수의 온도. 위의 그림은 위도와 수심에 따른 해수온도 변화 가. 혼합층(Mixed Layer); 해수 전체의 2%에 불과하며 표면으로부터 수십~수백m로 온도변화 거의 없다. (1)태양 복사열을 가장 많이 받는 혼합층은 열대해역 200m, 아열대해역 400m, 극지방은 거의 없다. (..
회사 직급을 영어로 알아봅시다 내 직급, 직장 상사의 직급을 영어로 알고 싶은분! 여기 다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중소기업이라 회장님은 안계시지만 회장부터 영문직급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보통 우리나라는 CEO라 하면 통용이 되지만 구분을 지어야 한다면 Chairman과 President로 나눌 수 있습니다. 참고로 명예회장은 Honorary President 입니다. 이사 직급도 참 많군요~ 가장 많은 분들이 해당되실 직급들에 대해 살펴보아요~~ 연구원들에 대한 직급 영어 입니다. 영문명함에 넣을 직급영어를 알아보다 정리를 하게되었는데 직급도 참 다양하고 헷갈리기도 하네요. 그래도 한 번 살펴보시고 필요할 때 유용하게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