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상청15

긴급 속보: 캄차카 반도 인근 규모 8.0 지진 발생!! 일본 쓰나미 경보!! 해외 지진 정보 (기상청)2025년 7월 30일 08시 45분 기준발생 시각: 2025년 7월 30일 08시 24분 50초규모(Magnitude): 8.0위치: 러시아 캄차카 반도 남동쪽 해상 페트로파블롭스크(Петропавловск)에서 133 km 지점위도: 52.47° N경도: 160.40° E발원 깊이: 약 19 km분석·자료 출처: 미국 지질조사국(USGS) 2025. 7. 30.
기상청 "경북 칠곡 서쪽서 규모 2.6 지진…지진동 느낄 수 있어" 22일 오전 7시47분 경북 칠곡군 서쪽 5km 지역에서 규모 2.6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기상청이 밝혔다. 진앙은 북위 36.00도, 동경 128.35도이며 지진 발생 깊이는 6km이다. 지진은 ‘규모 2.0′부터 ‘일반지진’으로 분류된다. 지진이 발생하면 그 여파가 주변에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기상청은 “지진 발생 인근 지역은 지진동을 느낄 수 있다”며 “안전에 유의하기 바란다”고 했다. 2024. 4. 22.
대만서 25년만에 최대 규모 강진…日·中·필리핀에 쓰나미 경보(종합) 대만에서 3일 규모 7이 넘는 25년 만에 가장 강력한 지진이 발생해 일부 건물이 무너지고 정전이 발생하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이 영향으로 대만은 물론 일본 오키나와와 중국 및 필리핀 해안 지역에도 쓰나미 경보가 발령됐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는 이날 오전 7시 58분(현지시간) 대만에서 규모 7.4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EMSC에 따르면 지진은 대만 동부의 인구 35만명의 도시 화롄(花蓮)에서 남동쪽으로 7㎞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는 20㎞로 일단 관측됐다. EMSC는 애초 지진의 규모를 7.3으로 밝혔다가 7.4로 수정했다. 이로부터 10여 분 뒤에는 규모 6.5의 여진이 이어졌다. 대만서 규모 7.0 넘는 강진 발생 3일 오전 7시58분(현지시간) 대만에서 규모 7.0.. 2024. 4. 3.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 임박에 주민 4000명 대피 아이슬란드 정부가 화산 활동과 용암 분출 우려로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지역 주민 대피령을 내렸다. 아이슬란드 정부는 남서부 레이캬네스 반도 해안에 화산 폭발로 이어질 수 있는 격렬한 지진 활동을 포착하고 주민 대피령을 내렸다고 로이터 통신이 11일 보도했다. 아이슬란드 기상청은 “지하에 마그마가 쌓이는 규모와 이동 속도로 볼 때 레이캬네스 반도의 해안과 앞바다에 상당한 화산분출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또 “분출 가능성은 오늘 아침부터 커지고 있으며 며칠 안에 분출이 시작될 수 있다”고 밝혔다. 아이슬란드 재난보호청은 레이캬네스 반도의 작은 어촌인 그린다비크의 주민에게 모두 대피하라고 명령했다. 그린다비크 주민은 4천명 남짓 된다. 마그마의 터널은 지하 800m 깊이에서 그린다비크를 북동쪽으로 가로질러 뻗.. 2023. 11. 13.
포항 앞바다 지진 발생. 진도 4.0 1. 경북 포항시 북구 동북동쪽 58km 해역에서 2019년 2월 10일 오후 12시 53분 36초경에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 2. 최근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던 포항과 경주 일대에서 또 다시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여 동네 주민은 물론이고 대한민국 국민들의 걱정과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3. 고리 원자력발전소를 비롯하여 발전소들이 많이 위치해 있는 동해안에 이런 큰 지진이 발생하여 쓰나미가 생기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있습니다만 부디 별다른 사고 없이 지나가기를 바랍니다. 2019. 2. 10.
파푸아뉴기니 6.3 지진 발생! 2018년 10월 11일 07시 00분 34초에 파푸아뉴기니 코코포 남서쪽 93km 지역에서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하였습니다. 발생깊이는 124km이며 국내영향은 없을 예정입니다. 파푸아뉴기니 여행객들과 여행 준비중인 분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2018. 10.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