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 4탄 입니다. 조선왕 4탄의 마지막 최종회 입니다. 제 22대 왕은 정조입니다. (재위 1776~1800)사도세자의 아들이자 조선의 르네상스 시대를 이끌었던 정조입니다.여자에겐 관심이 없고 취미는 술, 담배, 독서, 불 같은 성격에 매우 인간적인 왕이었다고 합니다.하지만 정조는 끊임없는 암살 위협에 제대로 잠을 자 본적이 없을 정도였다고 합니다.영화 역린은 정조를 암살하려고 했던 실화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입니다.현빈씨가 멋있는 정조역할을 완성했었습니다.현빈씨와 한지민씨는 정말 비주얼 최강의 사극 배우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한지민씨 사랑합니다.조선 왕 중 최고의 복근 씬을 보여주신거 같은데 다들 기억날거라 생각합니다. 제 23대 왕은 순조입니다. (재위 1800~1834년)안동 김 씨 세..
3탄은 15대 조선 왕부터 시작됩니다. 제 15대 왕은 광해군입니다. (재위 1608~1623년)영화 광해로 이제는 온 국민이 다 아는 왕 광해군입니다.당시 이병헌은 역시 이병헌이다라는 연기평과 함께 이미지 쇄신에 성공하였습니다. 한효주와 류성룡의 연기도 기억에 많이 남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임시 정부를 훌륭하게 이끌었고, 중립 외교정책 등 국란을 극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하지만 인조반정(서인이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를 즉위시킨 정변)으로 연산군에 이어 조선 역사상 두 번째로 강제 폐위 당합니다. 제 16대 왕은 인조입니다. (재위 1623~1649년)영화 최종병기 활은 인조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인조는 광해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지만정묘호란, 병자호란 (1627, 1636 청나라가..
1탄에 이어 2탄입니다. 2탄의 조선 왕들도 드라마, 영화를 통해 친숙한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제 9대 왕은 성종입니다. (재위 1469~1494년)나라 운영은 잘 했지만 바람기가 많았던 성입니다.부인 윤씨(연산군의 생모)는 그런 성종을 매우 질투하여 급기야 성종의 얼굴에 손톱 자국을 냅니다.이 사건이 결정적 계기가 되어 윤 씨는 폐위되고 인수대비(연산군 할머니)가 폐비 윤 씨에게 사약을 내립니다.영화 왕의남자에서 연산군은 어렸을 적 아버지 성종에게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하는 모습을 그림자놀이로 보여줍니다. 제 10대 왕은 연산군입니다. (재위 1494~1506년)계모를 죽이고, 재상가 부인 겁탈, 신하들 대거 숙청 등, 연산군의 극악무도한 횡포에 화난반대세력들이 쿠데타(중종반정)을 일으켜 연산군..
4. 취송류 이론 가. 탐험가 난센이 북극지방 항해 중 빙산이 풍향의 오른쪽 20~40도 각도로 편향되어 움직임을 에크만에게 알려주었다. 바람이 불 경우, 바람의 영향으로 일정한 수심까지 해류가 형성되는데 이를 에크만류(Ekman current) 혹은 에크만운동(Ekman motion)이라 한다. 이때의 이 수심을 마찰심도(depth of frictional resistance), 에크만수심(Ekman depth), 혹은 에크만층(Ekman layer)이라고 한다. 에크만류는 바람에 의한 응력과 지구자전에 의한 전향력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서의 흐름으로써, 북반구에서 해표면의 흐름은 바람이 불어가는 방향과 45° 오른쪽으로 편향’13되어 나타나며 수심이 증가하면서 유속이 감소되고 유향은 시계방향으로 회전..
해류에 미치는 힘을 알아봅시다. 1. 유체의 가속도(뉴턴의 운동법칙) ☞ 유체의 가속도 = (압력경도력 + 코리올리의 힘 + 마찰력) ÷ 유체의 질량 2. 코리올리 효과는 지구 자전의 영향을 준다.코리올리 효과 (Coriolis effect)는 전향력 또는 코리올리 힘(Coriolis force)라고도 하며, 회전하는 계에서 느껴지는 관성력으로, 1835년 프랑스의 과학자 코리올리가 처음 설명해 냈다. F=ma에서 a(코리올리 가속도) = 2Ωsinθ·V *θ는 위도 V는 해류의 속도이다. Fcoriolis = 2m(v × Ω) ‘12m은 질량, v는 물체의 계에서의 속도를, Ω는 계가 돌고 있는 각속도를 나타낸다.‘15 ex)위도 30도에서 100cm/s의 해류가 흐를 때 미치는 Coriolis 가속도..
빛의 굴절 산란 1. 해수의 색깔은 투과하는 가시광선의 파장에 영향을 많이 끼친다. 2. 수심 10m 이내에서 대부분 흡수한다. 3. 해수는 일반적으로 청색이나 녹색, 이것은 빛의 파장 차이를 준다. →깨끗한 물은 청록색이다. 혼탁한 물은 갈색 또는 녹색이다. 4. 해수 표면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은 입사각, 파도 등에 따라 투과량이 다르다. T-S도표와 해수의 혼합과정 1. T-S도표에 대해서 알아보자. 가. 해수의 가장 큰 특성은 수온과 염분이다. 일반적으로 –2℃ 이하전에 해수는 결빙하므로 고위도 해역에서는 항상 –2℃ 이상이고 저위도 해역에서는 30℃ 이하이다. 나. 대체로 대양의 심층수 온도는 거의 –1 ~ 4℃ 이내이고 염분은 34 ~ 35‰ 이다. 따라서 해수(수괴)의 중요 성질은 수온(Te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