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의 기준면 1. 평균해면; 우리나라의 육지의 높이를 나타내는 기준면으로서 오랫동안 관측한 평균 높이로 일평균 해면, 월평균 해면, 년평균 해면 등이 있다. ⇒ 인천의 평균해면 0m를 기준으로 한다. 다음 그림은 각종 기준면(좌)과 지역별 평균해면 높이의 차(우)를 나타낸 것이다. ※수준면(水準面, level surface); 중력방향에 수직적인 포텐샬이 모든 곳에서 같은 면이다. 지구를 둘러싸는 해수면의 높이는 중력 이외에 조석(潮汐)·조류·기압·해수밀도·해수온도 등의 영향에 따라 변하는데, 장기간에 걸친 평균을 잡아보면 주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상쇄되어 거의 하나의 수준면에 따른다고 볼 수 있다. 평균해수면에 가장 가까운 수준면을 지오이드(geoid)라고 하며, 이것은 수준측량(水準測量) 높이의..
노근리 학살 사건에 대해서 적어보겠다. 그날, 왼쪽 눈알이 빠졌다. 얼굴을 더이상 보고 싶지 않아서 이제는 겨울도 보지 않는다.그날, 얼굴의 반이 없어졌다. 이제 외출은 꿈도 못 꾼다.그날, 한 아기의 아버지는 자신의 손으로 아이를 죽여야만 했다.그리고 그날, 우는 아이에게 젖을 물리려던 엄마도 가슴이 뚫린 채로 죽고 말았다. 1950년 7월 그날, 그곳에서 300여 명의 죄 없는 사람들이 그렇게 죽었다.자식을 죽인 아버지, 아이에게 젖을 먹이던 어머니, 어린 아이, 노인들까지 모두 다 죽었다.누군가는 감추었고, 누군가는 잊었던 그날의 기억이다.이것은 노근리 민간인 학살 사건이다.피란 중 북한군에게 민간인이 몰살당한 안타까운 사건이라고만 알려졌던 노근리 민간인 학살 사건은 이후 우리 모두를 충격에 빠뜨리..
연애의 적, 권태기에 대해서 다뤄볼까 합니다.행복하고 오래 가는 연애를 방해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기중에서도 '권태기'는 가장 무서운 적입니다.감정은 서서히 사그라지는데 정확한 원인도 알 수 없고, 이내 관계를 포기해 버리게 되버립니다.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권태기를 이겨내는 과학적인 방법 한 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캘리포니아 대학 심리학과의 아서 애론 교수는 커플들이 어떤 활동을 함께할 때 관계 만족도가 더 높아지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기획했습니다.특히 오래 만난 커플이나 부부가 어떻게 하면 권태기를 겪지 않고 행복한 관계를 이어갈 수 있는지에 집중했습니다.애론 교수는 신문 광고를 통해서 평균 15년 정도 결혼 생활을 한 53쌍의 부부를 모집했습니다.그리고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눈 뒤에 서로 다..
연애의 적은 누구일까요? 연애를 오래하기 위해서는 둘의 사이도 좋아야 하고 갈등도 잘 풀어야 하지만,다른 매력적인 이성의 유혹도 이겨낼 수 있어야 합니다.솔직히 얘기해 봅시다.연인에겐 차마 말하지 못했지만, 세상에는 괜찮은 남자와 괜찮은 여자가 꽤 많이 있습니다.문제는 당신의 눈에만 괜찮아 보이는 게 아니라, 당신 연인의 눈에도 다른 이성이 괜찮아 보일지 모른다는 사실입니다. 혹시 당신의 연인이 한눈팔까 봐 걱정되시는 분 있을겁니다.다행히도 연애하는 사람들은 다른 이성의 유혹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다양한 수단을 가지고 있답니다.그 수단이 무엇인지 지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심리학과의 존 메이너 교수는 연애하는 사람들의 무의식적인 방어기제를 알아보는 아주 독특한 실험을 구상했습니다..
자신과 성향이 비슷한 사람과 반대인 사람중 누구에게 더 끌리는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대체 어느 게 맞냐고 하면 어떤 사람들은 자신과 반대되는 성향을 가진 사람에게 끌린다고 합니다.반면 또 다른 사람들은 자신과 비슷한 사람에게 끌린다고 합니다.그럼 대체 어떤 말이 맞는 걸까요?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딱 정해드리겠습니다.얼핏 보면 양쪽 의견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 같지만, 사실 자신과 비슷한 사람에게 끌린다는 연구 결과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심지어 몬머스 대학의 심리학 교수인 게리 르완도브스키 교수는 "누군가에게 매력을 느끼게 하는 가장 큰 요소는 바로 공통점이다."라고 말했습니다.공통점이 많을수록 상대방에게 더 큰 매력을 느낄 뿐 아니라 연애할 때도 큰 도움이 됩니다.예를 들면 처음 사..
하천의 조석은 외해의 조석은 하구에 진동을 일으킨다. 외해의 조석의 영향을 받는 하천을 감조하천(感潮河川)이라한다.그리고 감조하천의 특징으로는 밀물 시 바닷물이 하천을 거슬러 올라 가고 조수간만의 차로 하수의 수위가 주기적으로 변화한다.그에따라 홍수 및 농작물 염해를 입고 이에 따른 대책을 마련한다. 그 대책으로 방조제, 하굿둑 건설 등이 있다.그 실제 예로 금강, 영산강, 낙동강 하굿둑, 김포 신곡의 수중보, 충남 삽교 서산 방조제가 있다.문제점으로는 해류의 변화, 양식업 피해, 연안 습지의 식생 훼손, 하천 운반물질량이 달라져 생태계 변화, 수질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하구 수력학은 감조하천을 포함한 대부분 하구 부근은 지형, 수심의 복잡함으로 변화, 창조와 낙조 시 최대유속의 비대칭..